교육목표

인문정보학이란 문화와 기술을 아우르는 현대 사회의 복합적 지식 수요에 부응하는 지식 정보의 계발을 목적으로 전통적인 인문과학 분야의 지식과 정보과학 기술 사이의 학제적 소통 및 응용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인문정보학 교육의 목표는 정보기술을 매개로 전통적인 학술·문화 자원을 현대적인 지식 정보 콘텐츠로 편찬·가공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전통 문화의 현대화, 국제화에 기여할 지식 정보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다. 한국학대학원의 인문정보학 전공 과정에서는 한국의 역사, 지리, 사상, 언어, 문학 등 인문 분야 정보 자원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과 아울러 이를 정보화 하는 데 필요한 제반 기술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지식 정보의 콘텐츠와 테크놀로지를 종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하는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교육중점
- 역사, 지리, 사상, 언어, 문학 등 전통적인 한국학 분야 지식 자원의 성격과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응용 가치를 탐구한다.
- 고도서, 고문서, 고지도 등 기초 한국학 자료를 정보화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분석 능력 및 구조화 능력을 함양한다.
- 백과사전, 분야별 전문사전의 기획, 편찬, 제작 훈련을 통해 학술 지식의 사회적 유통에 필요한 기술 지식을 습득한다.
- 지역의 전통문화와 사회·경제적 생활상에 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조사·수집·정리하고 이를 문화콘텐츠의 제작에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하이퍼미디어, 가상현실, 지리정보시스템 등 첨단 정보기술의 운용 능력을 배양하고 이를 한국학 지식의 보급·확산에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구 분 | 교 과 목 명 | ||
국 문 | 영 문 | ||
학제간과목 (3) | 정보화를위한한국학자료특강Ⅰ:역사자료 | Computerization of Korean History Materials | |
정보화를위한한국학자료특강Ⅱ:어문자료 | Computer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Materials | ||
정보화를위한한국학자료특강Ⅲ:예술자료 | Computerization of Korean Art Materials | ||
일 반 전 공 과 목 | 원전 자료 해독 능력 배양 교과목 (1) | 역사지리자료특강 | Topics on Historical Geography Materials |
전공 이론 심화와 연구 역량 제고를 위한 교과목 (18) | 인문정보학개론 | Introduction to Cultural Informatics | |
전자문서와하이퍼텍스트 | Electronic Document and Hypertext | ||
인문정보데이터베이스 | Cultural Database Development | ||
지역문화콘텐츠연구 | Local Culture Content | ||
고문헌자료정보화연구 | Computeriz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 ||
고지도자료정보화연구 | Computerization of Historical Maps | ||
학술문헌자료정보화연구 | Computerization of Academic Documents and Information | ||
전자문화지도 | Electronic Cultural Atlas | ||
사전편찬연구 | Compilation of Encyclopedia | ||
한문정보처리 | Classical Chinese Processing | ||
지역문화조사방법론 | Methodologies for Local Culture Studies | ||
지역지리학응용연구 | Applied Studies in Regional Geography | ||
지리연구와콘텐츠Ⅰ:자연지리 | Geography and ContentⅠ:Physical Geography | ||
지리연구와콘텐츠Ⅱ:도시지리 | Geography and ContentⅡ:Urban Geography | ||
지리연구와콘텐츠Ⅲ:촌락 | Geography and ContentⅢ:Rural Geography | ||
계량지리학 | Quantitative Geography | ||
경제지리자료특강 | Topics on Economic Geography | ||
개별주제연구 | Independent Study | ||
전통의 현대화와 미래지향을 위한 교과목 (6) | 멀티미디어콘텐츠 | Multimedia Content Development | |
지리정보시스템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
시맨틱웹과한국학자료 | Semantic Web and Korean Studies Materials | ||
유비쿼터스와증강현실 | Ubiquitous Technology and Augmented Reality | ||
외국어디지털콘텐츠편찬방법론 | Translation of Cultural Contents | ||
연구개발프로젝트수행방법론 | R&D Project Management | ||
현장학습과목 (1) | 문화역사지리현장조사 |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Fieldwork | |
연구참여과목 (2) | 인문정보편찬연구Ⅰ | Cultural Information Compilation StudiesⅠ | |
인문정보편찬연구Ⅱ | Cultural Information Compilation StudiesⅡ | ||
외국인 학생을 위한 전공과목 (2) | 한국지리입문 | Introduction to Korean Geography | |
한국문화와문화콘텐츠 | Korean Culture and Cultural Contents |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http://www.aks.ac.kr/univ/
참고논문 : 김현, 「한국학과 정보기술의 학제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민족문화연구』 제43권, 2005년, pp.243-290
바로 : 한국학중앙연구원은(구 정신문화연구원) 2005년 인문정보학연구실을 설립하여 한국학을 주제 영역으로 하는 디지털인문학 연구를 본격적으로 가동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09년에는 동연구원 내 한국학대학원에 인문정보학 전공 과정을 개설하였다.(석사 및 박사 과정). 인문정보학 전공자는 전공필수 과목으로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XML), 인문정보데이터베이스를 이수하여야 하며, 온톨로지를 활용한 사전편찬연구와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전자문화지도 편찬 강좌 등을 개설하여 인문지식 데이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의 전 과정에 대한 통합적인 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대학원 학생들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장서각디지털아카이브, 고문서자료관 등 방대한 규모의 디지털 백과사전 편찬 및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사업을 R&D 현장으로 활용함으로써 (연구참여학점 제도 운영) 인문융합 실무 능력을 배양을 도모하고 있다. 다만 디지털인문학 영역에서 교수인력이 김현뿐이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DH교육 > DH교육자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교육과정] 東京大学大学院 - 横断型教育プログラム デジタル・ヒューマニティーズ (0) | 2015.08.05 |
---|---|
[DH교육과정] 한국외국어대학교 - 지식콘텐츠학부(since2015) (0) | 2015.08.04 |
[DH교육과정] 연세대학교 - 디지털 인문학 연계전공(2006-2009) (0) | 2015.08.04 |
[DH교육과정] 카이스트 - 문화기술대학원(since2005) (0) | 2015.08.04 |
[DH교육과정] 이화여자대학교 - 디지털인문학(since2005) (0) | 201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