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신수정 기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최종덕)은 다음카카오(공동대표 최세훈ㆍ이석우)와 조선왕실ㆍ대한제국 황실 유물 콘텐츠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8일 밝혔다. 이를 통해 오는 12월부터는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한 대표 유물 1045건과 조선왕계도 등을 ‘다음 백과사전’(http://100.daum.net)에서 만나볼 수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번 협약으로 왕의 초상인 어진, 의례용 도장인 어보, 왕과 왕비의 의복과 장신구, 조선 태조 이성계의 명으로 제작된 국보 제228호 천상열차분야지도각석(돌에 새긴 별자리), 전세계적으로도 희귀 차종에 속하는 순종황제와 순정효황후의 어차 등 중요 왕실ㆍ황실 유물 1045건의 사진과 내용, 조선왕실 왕계도 등의 콘텐츠를 다음카카오를 통해 제공한다.


출처 : 헤럴드경제 - 조선왕실 유물, 다음 백과사전에서도 검색 가능






네이버 김상헌 대표


읽는 데만 30분 넘게 걸리는 NYT해설기사, 최근 온라인상에서 적극 소비돼…

스마트폰으로 자신만의 콘텐츠를 오랜 시간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인기


네이버는 한국에서 독보적인 인터넷 업체다. 검색 시장에서 네이버가 차지하는 점유율만 70% 이상이다. 사실상 거의 대부분의 모바일·인터넷 사용자는 네이버를 통해 검색하고 콘텐츠를 소비한다. 네이버 김상헌 대표는 "인간은 지적 욕구와 호기심이 많은 동물"이라며 "당연히 뉴스를 비롯한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고, 이런 인간의 속성은 절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콘텐츠 생산과 유통, 소비의 형식과 주체는 급격히 변하고 있다. 과거에는 콘텐츠가 책·신문·방송을 통해 전달됐다. 하지만 유·무선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PC와 스마트폰을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는 일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김 대표는 "그렇다고 해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가 기존 미디어의 대체재는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SNS 등의 발전은 콘텐츠를 더 많이, 더 넓게 확산한다는 측면에서는 축복과도 같습니다. 중요한 것은 SNS를 기존 미디어들이 어떻게 활용할 것이냐는 점이죠."


김상헌 대표는 "특히 모바일은 철저히 개인화된 기기"라며 "모두가 알아야 하는 공통의 정보는 단시간에 소비하고 그 이외 시간은 자기만의 관심사에 더 몰두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따라서 개인이 좀 더 깊이 관심을 가지는 분야나, 자신의 삶을 윤택하게 해주는 정보가 훨씬 가치가 크다는 설명이다.


김상헌 대표는 판사, 대기업 변호사, IT 기업 경영자를 두루 거친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다. 2008년 네이버로 스카우트돼 2009년부터 대표이사 사장을 맡고 있다. 어려서부터 만화·애니메이션을 좋아해 전문가급 식견을 갖고 있다. 네이버에서도 한류 콘텐츠의 해외 진출 사업에 역점을 기울이고 있다.


김 대표는 전혀 상반되는 것 같은 두 가지 형태의 콘텐츠가 모바일 환경에서 살아남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첫째는 사건을 깊이 해석하고 분석해주는 콘텐츠다. 방금 일어난 사건을 얼마나 빨리 알려주느냐보다 '어째서, 왜'를 설명해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말이다.


"최근 온라인상에는 읽는 데만 30분이 넘게 걸리는 뉴욕타임스의 해설 기사 등이 많이 퍼지고, 적극적으로 소비됩니다. 스마트폰을 가지고 오랜 시간 자신만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인기를 끄는 것이라고 봅니다."


또 다른 형태는 카드 뉴스나 리스티클(Listicle·목록과 기사의 합성어) 같은 실험적인 형태다. 카드 뉴스는 문자나 영상으로 이뤄진 기존 콘텐츠와 달리 이미지와 간단한 내용을 담은 카드 여러 장을 넘겨가면서 보는 형태로 돼 있다. 리스티클은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여행지 10곳'처럼 목록을 요약·나열하는 콘텐츠다. 리스티클 역시 큰 이미지와 간단한 내용을 담은 것이다. 네이버도 최근 카드 뉴스를 새로 서비스하고 있다.


그는 "전통 미디어에서 생산한 기사는 여전히 어떤 콘텐츠보다 공신력 있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면서도 "기성 콘텐츠 산업은 세계가 자신들에게 맞춰주기만을 바라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종이신문이 오랜 시간 쌓아온 축적된 노하우와 기사 품질에 대한 고민은 단기간 따라잡을 수 있는 영역이 아닙니다. 다만 디지털 시대의 생산 유통 소비에 얼마나 잘 적응하느냐에 따른 부침(浮沈)은 존재할 수 있다고 봐요. 종이신문의 한계를 넘어서 생각한다면 오히려 더 많고 다양한 형태의 실험을 해볼 수 있을 겁니다." 




다음카카오 이석우 공동대표


책이나 신문 같은 전통 콘텐츠가 쇠퇴한다고? 천만의 말씀…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어 ‘고품질 정보’에 대한 갈망 더 심해질 것


스마트폰이 등장한 이후 콘텐츠 산업은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이동 중에 작은 스마트폰 화면으로 간단히 보고 즐기는 웹툰·동영상·웹드라마 같은 휘발성 콘텐츠가 유행하면서 책이나 신문 같은 전통 콘텐츠 산업은 쇠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내 최대의 모바일 메신저 업체인 다음카카오의 이석우 공동대표는 이런 의견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이 대표는 “스마트폰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콘텐츠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사람들의 정보에 대한 ‘갈망’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예전엔 책·신문을 들고 다니기 어려웠지만 이제는 스마트폰에 수백권, 수천권 분량의 콘텐츠를 담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의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말이다. 이 대표는 기자이자 국제변호사 출신이다. NHN(현 네이버) 법무담당 임원과 미국지사 대표, 카카오 대표를 지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콘텐츠와 플랫폼 산업을 두루 경험했다.


이 대표는 2013년 아마존의 창업자 겸 CEO(최고경영자) 제프 베조스가 미국을 대표하는 신문인 워싱턴포스트를 2억5000만달러(약 2750억원)에 인수한 것을 예로 들었다. 그는 “모바일 산업에서 고품질의 콘텐츠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한 대표적 사례”라며 “아마존 킨들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고품질 콘텐츠를 대거 공급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당시 미디어 업계에서는 ‘신문사가 헐값에 팔렸다’고 했지만, 오히려 베조스가 콘텐츠의 가능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는 의미다.


그는 전통적인 미디어와 콘텐츠가 모바일 시대에 적합한 방향으로 진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모바일이나 PC에 각각 맞는 게임·서비스가 있는 것처럼 콘텐츠 역시 유통되는 플랫폼에 최적화돼야 한다”며 “종이에 맞춰 만든 콘텐츠를 PC·모바일에 그대로 쓰려는 기존 시스템으로는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유튜브 같은 차세대 미디어에 밀리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편적인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스마트폰은 지금까지 사람들이 사용해온 기기 중 가장 개인화된 기기이기 때문에 굳이 보편적인 콘텐츠를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초등학생·중학생도 이해할 만한 콘텐츠는 과거 종이 시대에나 먹혔던 발상”이라며 “오히려 모바일 시대에는 특정 계층을 나눠서 이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런 과정을 통해 콘텐츠 업계가 핵심 과제로 삼고 있는 유료화도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앞으로 콘텐츠는 더욱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으로 집중해야 성공할 수 있을 겁니다. 100명을 모두 잡으려는 생각보다는 이 중 5명으로부터 콘텐츠 이용 요금을 받는 게 훨씬 낫다고 봅니다.”


그는 “게임에서도 90% 이상의 사용자가 쓰는 돈은 0원”이라며 “하지만 나머지 10% 이하의 사용자가 쓰는 돈으로 게임 업계의 매출이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콘텐츠 역시 충분히 돈을 내고 볼 만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들을 만족시킬 만한 심층적이고 분석적인 내용을 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석우 대표는 “지금 인터넷에는 너무나도 많은 정보가 떠다니고 있는데, 이 중 무엇이 도움이 될 만한 콘텐츠인지 판단하는 것이 너무 어렵다”며 “이를 잘 분석·정리하는 서비스만 나와도 콘텐츠의 미래를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ChosunBiz - 콘텐츠의 미래는?


+ Recent posts